본문 바로가기

 

 

건강

거대세포 바이러스(CMV) 치료·증상·원인 총정리: 감염부터 예방까지

by 빌리스토리 2025. 5. 7.

 

 

 

거대세포 바이러스(CMV)는 전 세계 성인의 50~90%가 평생 한 번 이상 감염되는 흔한 바이러스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증상, 원인, 치료법을 포함한 모든 정보를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거대세포 바이러스 주요 증상

1. 건강한 성인의 경우

대부분 증상 없이 경과합니다. 약 20%에서 미열, 피로감, 림프절 부종 등 경미한 감기 증상이 2-3주간 지속됩니다.

2. 면역저하자 증상

  • 망막염(50%)으로 시력 저하 발생 시 즉시 치료 필요
  • 폐렴(30%): 마른기침·호흡곤란
  • 위장관염(25%): 복통·설사·체중감소

3. 신생아 감염 시 위험성

  • 선천성 감염아의 15%에서 청력상실·시각장애·발달지연 발생
  • 출생 시 작은 머리둘레·간비대·피부반점 등 특징적 증상

 

 

 

감염 경로와 주요 원인

1. 전파 경로 3가지

  • 분비물 접촉: 침·소변·모유 등
  • 수직감염: 임신 중 태반 통해 태아 전달
  • 의료적 감염: 수혈·장기이식 시 발생

2. 고위험군 특징

  • 에이즈 환자(CD4+ 50/μL 미만 시 위험성 80%↑)
  • 장기이식 수혜자(이식 후 6개월 내 발병률 60%)
  • 미숙아(모체 항체 부족으로 중증화 가능성)

진단과 치료 방법

1. 검사 방법

  • PCR 검사: 혈액/소변에서 바이러스 유전자 검출
  • 항체 검사: IgG·IgM으로 감염 시기 판단
  • 망막 검진: 3개월 주기 안과 검사 필수

2. 치료 프로토콜

  • 간시클로비르: 1일 5mg/kg 정맥주사(2-3주)
  • 발간시클로비르: 경구용 약제(900mg 1일 2회)
  • 포스카르네트: 약제내성 발생 시 사용

 

 

예방 관리 수칙

1. 일반인 예방법

  • 유아 기저귀 교환 후 철저한 손씻기
  • 임산부는 어린이 침·타액 접촉 최소화
  • 개인위생용품(수건·칫솔) 공용 금지

2. 고위험군 특별 관리

  • 예방약물: 발간시클로비르 900mg 1일 1회
  • 면역글로불린: 장기이식 환자 수술 후 투여
  • 정기검진: 3개월마다 혈액검사+망막검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