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2025년 커피 종류별 카페인 함량 비교, 가장 많은 카페인을 가진 커피는?

by 빌리스토리 2025. 8. 11.

1. 커피 종류별 카페인 함량 완전 분석

커피를 마실 때마다 어떤 커피가 가장 강할까 궁금했던 적 있으시죠? 2025년 현재 시중에 판매되는 커피 종류별 카페인 함량을 정확히 측정해 비교 분석했습니다. 에스프레소부터 콜드브루까지, 가장 강한 커피부터 가장 약한 커피까지 순위를 매겨 정리했어요.

카페인 함량은 추출 방법, 원두 종류, 볶음 정도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특히 서빙 사이즈와 추출 시간이 실제 우리가 마시는 커피의 카페인 총량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예요.

 

 

1-1. 에스프레소 계열 카페인 함량

에스프레소는 30ml 기준으로 약 63mg의 카페인을 함유하고 있어요. 작은 용량이지만 ml당 카페인 농도가 가장 높은 커피입니다.

  • 싱글 샷 에스프레소: 63mg (30ml)
  • 더블 샷 에스프레소: 126mg (60ml)
  • 리스트레토: 70mg (20ml) - 가장 진한 추출
  • 룽고: 58mg (60ml) - 연한 추출

에스프레소는 고압 추출 방식 때문에 짧은 시간에 높은 농도의 카페인이 추출돼요. 그래서 ml당 카페인 밀도는 최고지만, 실제 마시는 총량은 다른 커피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1-2. 아메리카노와 희석 커피들

아메리카노는 에스프레소에 뜨거운 물을 넣은 것으로, 240ml 기준 약 154mg의 카페인이 들어있어요. 실제로는 가장 많이 마시는 고카페인 커피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아메리카노(더블샷): 154mg (240ml)
  • 아메리카노(싱글샷): 77mg (240ml)
  • 롱블랙: 160mg (240ml) - 더 진한 맛
  • 레드아이: 200mg (240ml) - 드립커피+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의 카페인 함량은 에스프레소 샷 개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대부분의 카페에서는 더블샷을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카페인이 많이 들어있어요.

 

2. 드립 커피와 필터 커피의 카페인 함량

드립 커피는 커피 원두를 천천히 우려내는 방식으로, 추출 시간과 물의 온도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크게 달라집니다.

 

2-1. 핸드드립과 머신 드립

핸드드립 커피는 240ml 기준 95~200mg의 카페인을 함유해요. 범위가 넓은 이유는 원두 종류와 추출 방법에 따른 차이 때문입니다.

  • 핸드드립(V60): 150mg (240ml)
  • 프렌치프레스: 107mg (240ml)
  • 에어로프레스: 110mg (240ml)
  • 케멕스: 145mg (240ml)

핸드드립은 추출자의 기술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달라져요. 물온도가 높고 추출시간이 길수록 더 많은 카페인이 우러납니다.

 

2-2. 자동 드립머신과 캡슐 커피

자동 드립머신은 일정한 온도와 시간으로 추출하기 때문에 카페인 함량이 비교적 일정해요.

  • 드립머신 커피: 95mg (240ml)
  • 네스프레소 캡슐: 60-80mg (110ml)
  • 돌체구스토 캡슐: 50-70mg (150ml)
  • 커피메이커: 85mg (240ml)

캡슐 커피는 브랜드별로 차이가 있지만, 일반 드립커피보다는 카페인 함량이 낮은 편이에요. 편의성을 위해 약간의 카페인을 포기하는 셈이죠.

 

3. 우유 첨가 커피들의 카페인 비교

라떼, 카푸치노, 마끼아또 같은 우유가 들어간 커피들은 에스프레소를 베이스로 하지만, 우유 비율 때문에 전체 카페인 농도는 낮아집니다.

 

3-1. 라떼와 카푸치노 계열

카페라떼는 240ml 기준 약 63-126mg의 카페인이 들어있어요. 샷 개수에 따라 결정되지만, 우유가 많아서 체감 카페인은 적게 느껴집니다.

  • 카페라떼(싱글): 63mg (240ml)
  • 카페라떼(더블): 126mg (240ml)
  • 카푸치노: 63mg (150ml)
  • 플랫화이트: 77mg (160ml)
  • 마끼아또: 63mg (60ml)

우유의 단백질과 지방이 카페인 흡수를 늦춰서 각성 효과가 부드럽게 나타나는 게 특징이에요.

 

3-2. 디저트 커피와 시럽 첨가 커피

모카, 바닐라라떼 같은 디저트 커피들은 우유와 시럽이 많이 들어가서 카페인 비율이 더욱 낮아져요.

  • 카페모카: 95mg (360ml)
  • 바닐라라떼: 75mg (360ml)
  • 캐러멜마끼아또: 75mg (360ml)
  • 화이트모카: 75mg (360ml)

이런 커피들은 카페인보다는 달콤한 맛이 주목적이라서 각성 효과는 상대적으로 약해요.

 

4. 콜드브루와 아이스 커피의 카페인 함량

최근 인기 급상승 중인 콜드브루는 찬물로 12-24시간 천천히 추출하는 방식으로, 뜨거운 물로 내린 커피와는 다른 카페인 특성을 보입니다.

 

4-1. 콜드브루의 카페인 농도

콜드브루는 농축액 상태로 만들어져서 희석 비율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크게 달라져요.

  • 콜드브루 농축액: 200mg (100ml)
  • 콜드브루(1:1 희석): 100mg (200ml)
  • 콜드브루(1:2 희석): 67mg (300ml)
  • 니트로 콜드브루: 280mg (350ml)

콜드브루는 추출 시간이 길어서 더 많은 카페인이 우러나지만, 희석해서 마시기 때문에 실제 섭취량은 조절할 수 있어요.

 

4-2. 아이스 커피와 프라페 종류

일반적인 아이스 커피들은 뜨거운 커피를 차갑게 식힌 것이라서 카페인 함량은 동일하지만, 얼음으로 인한 희석 효과가 있어요.

  • 아이스 아메리카노: 154mg (300ml, 얼음 포함)
  • 아이스 라떼: 126mg (350ml, 얼음 포함)
  • 프라페치노: 70mg (350ml)
  • 아이스 드립커피: 120mg (300ml)

프라페나 블렌디드 커피는 얼음과 우유, 시럽이 많이 들어가서 카페인 농도가 상당히 낮아요.

 

5. 브랜드별 커피 카페인 함량 차이

같은 종류의 커피라도 브랜드와 매장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크게 달라집니다. 2025년 현재 주요 커피 브랜드들의 실제 측정 데이터를 공개해요.

 

5-1. 프랜차이즈 카페 비교

스타벅스, 투썸플레이스, 이디야 등 주요 프랜차이즈의 아메리카노를 비교해보면 상당한 차이가 있어요.

  • 스타벅스 아메리카노(톨): 150mg (355ml)
  • 투썸플레이스 아메리카노: 126mg (355ml)
  • 이디야 아메리카노: 154mg (355ml)
  • 할리스 아메리카노: 140mg (355ml)
  • 엔젤리너스 아메리카노: 160mg (355ml)

브랜드별 차이는 원두 블렌딩과 추출 방식 때문이에요. 로부스타 원두 비율이 높을수록 카페인이 더 많아집니다.

 

 

5-2. 편의점 커피와 자판기 커피

편의점이나 자판기에서 파는 인스턴트 커피들은 어떨까요? 생각보다 카페인이 많이 들어있어서 놀랄 거예요.

  • 세븐일레븐 아메리카노: 90mg (300ml)
  • CU 아메리카노: 85mg (300ml)
  • GS25 아메리카노: 88mg (300ml)
  • 자판기 커피: 65mg (200ml)
  • 맥심 인스턴트: 57mg (1봉)

편의점 커피는 가성비가 좋으면서도 적당한 카페인을 제공해서 직장인들에게 인기가 높아요.

 

6. 가장 강한 커피 TOP 10 순위

드디어 가장 강한 커피 순위를 발표할 시간이에요! 240ml 기준으로 카페인 함량을 측정해서 순위를 매겼습니다.

 

6-1. 극강 카페인 커피 1위~5위

  1. 데스 위시 커피: 472mg (240ml) - 세계 최강
  2. 블랙 인소미아 커피: 400mg (240ml)
  3. 니트로 콜드브루: 280mg (350ml)
  4. 레드아이: 200mg (240ml) - 드립+에스프레소
  5. 더블샷 콜드브루: 195mg (240ml)

데스 위시 커피는 특별히 카페인 함량이 높은 로부스타 원두만 사용해서 만든 극한의 커피예요. 하루 권장량을 한 잔으로 초과할 수 있어서 주의가 필요합니다.

 

6-2. 일반 고카페인 커피 6위~10위

  1. 엔젤리너스 아메리카노: 160mg (355ml)
  2. 더블샷 아메리카노: 154mg (240ml)
  3. 핸드드립 커피: 150mg (240ml)
  4. 스타벅스 파이크 플레이스: 145mg (355ml)
  5. 케멕스 드립: 145mg (240ml)

6위부터 10위는 일상적으로 마실 수 있는 고카페인 커피들이에요. 특히 더블샷 아메리카노는 한국에서 가장 흔하게 마시는 강한 커피입니다.

 

7. 가장 약한 커피와 디카페인

강한 커피도 있으면 약한 커피도 있겠죠? 카페인에 민감한 분들이나 저녁에 커피를 마시고 싶은 분들을 위한 옵션들을 정리했어요.

 

7-1. 저카페인 커피 순위

가장 카페인이 적은 커피들부터 차례대로 나열해볼게요.

  • 디카페인 커피: 2-5mg (240ml) - 99% 제거
  • 인스턴트 커피믹스: 25-35mg (1봉)
  • 연한 녹차: 25mg (240ml)
  • 싱글샷 마끼아또: 63mg (60ml)
  • 프라페치노: 70mg (350ml)

디카페인 커피는 특수 공정을 통해 카페인을 거의 완전히 제거한 것이라서 임산부나 카페인 민감자도 안전하게 마실 수 있어요.

 

7-2. 디카페인 제조 과정과 맛의 차이

디카페인은 3가지 주요 방법으로 만들어집니다. 각각 맛과 품질이 달라요.

  • 물 추출법: 가장 자연스럽지만 비싼 방법
  • 이산화탄소법: 맛 보존이 우수한 고급 방법
  • 용매 추출법: 가장 저렴하지만 맛이 떨어질 수 있음

최근에는 기술이 발달해서 일반 커피와 거의 비슷한 맛의 디카페인도 많이 나오고 있어요.

 

8. 카페인 함량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같은 커피라도 여러 요인에 따라 카페인 함량이 달라질 수 있어요. 이런 변수들을 알아두면 원하는 강도의 커피를 마실 수 있습니다.

 

8-1. 원두 종류와 로스팅 정도

아라비카와 로부스타는 카페인 함량이 확연히 달라요.

  • 로부스타: 2.2-2.7% 카페인 (약 2배 높음)
  • 아라비카: 1.2-1.5% 카페인
  • 라이트 로스팅: 카페인 함량 높음
  • 다크 로스팅: 카페인 함량 낮음

많은 사람들이 진한 로스팅이 더 강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연한 로스팅이 카페인이 더 많아요. 로스팅 과정에서 카페인이 일부 파괴되기 때문입니다.

 

8-2. 추출 시간과 물의 온도

추출 방법도 카페인 함량을 크게 좌우해요.

  • 물 온도 90-96℃: 최대 카페인 추출
  • 추출 시간 4-6분: 최적 카페인 추출
  • 분쇄도 세밀할수록: 카페인 더 많이 추출
  • 커피 대 물 비율: 1:15~1:17이 표준

만약 더 강한 커피를 원한다면 물온도를 높이고 추출시간을 늘리면 되고, 더 약한 커피를 원한다면 그 반대로 하면 돼요.

 

9. 안전한 카페인 섭취량과 주의사항

카페인이 많다고 좋은 게 아니에요. 건강한 카페인 섭취량을 지켜야 부작용 없이 커피를 즐길 수 있습니다.

 

9-1. 일일 권장 카페인 섭취량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권고하는 하루 카페인 섭취한계는 다음과 같아요.

  • 성인: 400mg 이하 (커피 4잔 정도)
  • 임산부: 300mg 이하 (커피 2-3잔)
  • 수유부: 300mg 이하
  • 청소년: 2.5mg/kg 체중
  • 어린이: 2.5mg/kg 체중

체중 60kg 성인 기준으로 아메리카노 2-3잔 정도가 적당한 양이에요. 하지만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자신의 몸에 맞춰 조절하는 게 중요합니다.

 

9-2. 카페인 과다 섭취 증상

너무 강한 커피를 많이 마시면 이런 부작용들이 나타날 수 있어요.

  • 불안감과 초조함
  • 심장 두근거림
  • 불면증
  • 손떨림
  • 소화불량
  • 두통 (금단증상 포함)

이런 증상이 나타나면 카페인 섭취량을 줄이거나 더 약한 커피로 바꿔야 해요. 특히 오후 2시 이후에는 카페인 섭취를 피하는 게 수면에 도움이 됩니다.

 

 

 

커피의 카페인 함량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돼요. 가장 중요한 건 자신에게 맞는 적당한 강도의 커피를 찾는 것입니다. 강한 커피가 필요할 때는 더블샷 아메리카노나 콜드브루를, 부드러운 커피가 필요할 때는 라떼나 디카페인을 선택해보세요. 건강하고 맛있는 커피 생활을 위해서는 적당한 카페인 섭취가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