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학점은행제 학점인정 학위증명서 온라인 발급(국문, 영문, PDF) 신청 방법에 대해 사진과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렵지 않으니 천천히 사진을 보면서 따라하시면 됩니다. 마음 편안하게 급하게 하지 마시고 천천히 읽으시길 바랍니다.
학점은행제 학위증명서 온라인 발급 신청 순서
먼저 구글, 네이버 또는 다음 등에서 '학점은행제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이라고 검색 후 홈페이지로 접속해주세요!
학점은행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공식 홈페이지: https://www.cb.or.kr/creditbank/base/nMain.do
오른쪽 위 또는 오른쪽 하단에 '로그인' 클릭 후 로그인을 먼저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 입력 후 로그인을 해주세요!
로그인 후 이동한 화면에서 '증명서 신청'에 마우스 커서를 이동하면 위 사진처럼 전체 메뉴가 나옵니다.
여기에서 '온라인 증명서 발급'을 클릭을 해주세요!
학습자 정보에서 이름, 학위종류, 총학점, 학위번호, 최종학점인정일, 학번, 전공, 평점평균, 학위수여일 등이 맞는지 확인해주세요! 그 다음 맨 아래로 내려가면! (아래 사진 참고)
학습자 정보 확인 후 맨 아래로 내려가면 '학점인정 세부내용을 확인하였습니다.' 문구 왼쪽 체크박스를 체크한 뒤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
온라인 증명서 발급 팝업창이 위 사진처럼 나오게 되면 이용안내 및 유의사항 단계에서 내용 확인 후 '다음'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온라인 증명서 발급 2단계인 증명서 신청 단계에서는 증명서와 PDF 파일 중 원하시는 걸 선택할 수 있습니다.
저는 PDF 다운로드로 진행해보겠습니다. 'PDF 다운로드' 클릭 시 위와 같은 창이 나오면 내용을 읽은 후 '확인'을 눌러주세요!
'확인'을 누르면 증명서 종류별로 국문과 영문 등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 번에 하나씩만 신청이 가능합니다.
원하시는 걸 선택해서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원하는 증명서 종류를 선택하고 '신청'을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이 결제창이 나옵니다. '결제하기'를 클릭 한 후 카드결제 수단 연락처 등을 입력한 후 결제를 하시면 됩니다. 저는 이미 결제를 해버려서 여기까지만 진행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자격증을 준비하는데 응시자격 서류 제출이 필요해서 저는 PDF 증명서를 다운 받아 제출했습니다. 결제를 하고 나면 증명서를 볼 수 있는 창이 나오고 프린트할 수 있는 창 또는 PDF 파일 다운로드를 할 수 있는 창이 나옵니다.
사진이 좀 복잡했을 수도 있어서 간단하게 텍스트로 학점은행제 온라인 학위증명서 신청 방법을 텍스트로 요약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구글, 네이버 또는 다음 등에서 '학점은행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검색 후 홈페이지 접속
- 오른쪽 상단 '로그인' 클릭 후 로그인하기
- 상단 메뉴에서 '증명서 신청' -> '온라인 증명서 발급' 클릭
- 아래로 내려가 '학습자 정보' 및 학점인정 세부내용 체크박스 체크 후 '다음' 클릭
- 온라인 증명서 발급 창이 팝업되면 이용안내 및 유의사항 확인 후 아래 '확인' 클릭
- '증명서 출력' 또는 'PDF 다운로드' 중 원하는 걸 선택하기
- 증명서 종류(국문/영문) 등을 확인 후 원하는 종류의 증명서 '신청' 클릭
- 결제창이 나오면 결제수단 및 전화번호 등 정보 입력 후 '3,500원' 결제하기
- 결제 후 안내에 따라 증명서 또는 PDF 확인 후 프린트 또는 다운로드하기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초! 초간단 카카오뱅크(카뱅) 통장사본 모바일 발급 방법 및 저장 위치 (0) | 2025.03.14 |
---|---|
네이버플러스 스토어 특징과 스마트스토어 차이점, AI 기술 활용 (0) | 2025.03.12 |
윈도우 10 한컴 입력기 키보드 제거/삭제 없애는 방법, Microsoft 입력기 키보드와 비교 (키보드 전환 오류) (0) | 2025.03.06 |
산업안전기사 2025년 1회 3월 2일 시험 가채점 합격 후기, 나합격 기출문제집 교재, 공부 기간, 시간, 범위, 방법 (0) | 2025.03.02 |
아이폰 잠금 비밀번호 암호 4자리, 6자리, 알파벳 숫자 코드 설정 방법 - "암호 변경 보안 지연" 및 "도난당한 기기 보호" 설정/해체, 활성화/비활성화 변경 방법 (0) | 2025.02.25 |
댓글